질병후유장애 특약, 넣을지 말지 고민이라면? 3가지 이유!

질병후유장애 특약은 어린이보험과 성인보험 가입 시 넣을지 말지 고민을 많게 하는 특약입니다.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질병으로 인해 영구적인 장애가 남았을 경우 보장금을 제공하는데, 그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필수적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체감상 불편함에 비해 보험료는 비싸고, 보장금액이 낮아서 기대 이하의 보장만을 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질병 후유장해 특약을 무조건 넣어야 할 필요는 생각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한건 아래서 확인해주세요.

질병후유장애 란?

이 글에서는 질병 후유장애 특약이 어떤 특약이고 우리가 보험에 가입할 때 꼭 필요한지 넣을만 가치가 있는지 말씀드려 볼게요. 질병 후유장애 담보는 질병이 치유된 뒤에 후유증으로 인해서 해당 부위에 영구적인 장애가 남게 되었을 때 약관에서 정한 후유장애 분류표에 따라서 가입금액의 장애율을 곱한 금액을 보험금으로 지급받는 특약입니다.

한시 장애

영구적인 장애가 아니라 한시적인 장애의 경우에도 보험금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한시적 장애는 장애상태가 5년 이상 지속되지만 회복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엔 가입금액에 해당 장애율을 곱한 금액에 20%를 지급합니다.

보장 예시

보통 우리가 질병 후유장애 특약을 넣을 때 보장 범위가 가장 넓은 질병 후유장애 3~100% 담보를 넣게 됩니다. 따라서 질병 후유장의 3에서 100% 담보 보험금 산정의 예를 들어보면 보장금액 5천만원으로 가입했을 경우에 질병으로 인해서 한손의 손가락을 모두 상실하게 되면 55%의 장애율로 측정되어 있기 때문에 2750만원에 받게 됩니다.

한시적 장애의 경우에는 2750만원에 20%인 550만원에 받게 되고요.

질병후유장애 꼭 들어야 하는지?

그럼 우리가 보험 가입할 때이 질병 후유장애 특약을 꼭 넣어야 할 정도로 가치가 있을까요. 정답을 먼저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질병 후유장의 3에서 100% 담보는 상대적으로 심각도가 낮은 3%의 후유장애가 부터 정도가 심한 100%의 후유장애까지 보장을 해주기 때문에 보장 범위가 넓은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수 특약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이제부터 그 이유를 세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중입자 치료, 암보험 적용되는 암보험 특약 4가지>>

질병 후유 장애 보험 추천 바로가기

첫번째 이유 : 비싼 보험료 대비 낮은 보상

첫 번째로 제 생각엔 보험회사에서 정한 후유장애 표의 장애율이 실제 우리가 겪는 체감상에 불편함보다 낮고 또 그에 비해서 보험료는 너무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보험료 예시:

예를 들어 볼께요. 보장 금액이 3천만원인데 보험료가 월 2만원이 넘는 금액이 나왔습니다. 보장금액이 5천만원일 경우에는 35,000원 정도의 금액이 나오고요. 보장 금액이 1억원일 경우에는 거의 7만원 가까운 금액이 산정됩니다.

보장 예시:

질병 후유장애 특약은 해당 질병에 걸려도 장애율에 따라서 보험금이 나오기 때문에 저 3천만원에 다 받으려면 두 눈이 멀 정도에 큰 장애여야 하고요. 한눈이 멀게 되면 50%의 장애율이라서 1500만원 발가락을 모두 상실하면 30%의 장애율로 900만원 위 대장 또는 췌장을 전부 절제하거나 소장 간장을 3/4 이상 절제하면 50%의 장애율로 1500만원에 받게 됩니다.

우리가 내는 보험료에 비해 너무 낮은 보상을 받는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사실상 유의미한 보상을 받으려면 보장금액에 5천만원이나 1억원 수준으로 높여야 하는데 그럴 경우에는 보험료가 너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또한 물가상승률도 고려해봐야 하는데요.

우리가 질병 후유장의 특약을 넣게 되면 사실상 나중에 60세는 넘어야지 받을 일이 생기잖아요. 30년 40년 뒤에 내가 췌장을 절제하고 1500만원에 받으면 큰 도움이 될까요. 물론 없는 것보다 낫겠지만 보험료를 대비해서 봤을 때 큰 도움이 되는 것인지는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따라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태아보험 필요없는 특약 TOP3는? (과다 청구되는 보험료)>>

두번째 이유 : 지급이 어렵다.

두 번째로 보험금을 지급받기가 까다로일 수도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정말 영구적인 장애를 가진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질병에 진단 확정일로부터 180일 즉 6개월 동안 지켜보고 그때 의사의 판단에 따라서 보험금을 지급한다는 보험금을 지급 받기가 까다로울 수도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보험청구 방법 5분 (+서류 총정리)>>

세번째 이유 : 가능성이 낮다

마지막 세 번째로 질병으로 후유장애가 생길 일이 많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상해로 인한 후유장애는 생각보다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해 후유장에 특약은 추천드리는 편인데요. 저도 사과로 인해서 손가락의 일정부분 장애를 갖게 되기도 했고요.

그렇지만 질병으로 인한 후유 장애가 생길 일은 그렇게 많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질병으로 인해 눈이 멀거나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잃게 되거나 디스크가 생기거나 어깨뼈의 기형이 생길 일이 많을까요.

물론 나이가 들면서 여러 질병들이 생기게 되면 후유증으로 인해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혹시 생기게 되더라도 우리가 겪는 심각성에 비해서 우리가 받는 돈은 생각보다 많지가 않구요. 보험료 부담도 크기 때문에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3대 질병에 맞는 보험은?(뇌, 심장, 혈관 치료방법 및 대비방법)>>

정리

이 글에서는 질병 후유장애 특약에 꼭 필요한지 말씀드려보는 시간을 가져봤는데요. 추가로 암 보험과 관련된 특약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보험 가입시 고려해야 할 것 5가지>>

암보험 비싸게 만드는 담보 특약은?(가성비 암보험 4만원으로 구성하기)>>

유사암 진단비 특약은? 얼마가 적당한지?(줄어든 연계비율 20%)>>

질병 후유 장애 보험 추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