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기록, 보험에 불이익 되는 것?(최근 5년 기록)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을 때 가입 가능한 보험과 가입요령을 알려드립니다. 보험을 가입할 때 필요한 고지의무 5가지가 있는데요. 정신과 기록이 있다면 안되는 고지의무 1가지가 있습니다. 정신과 기록이 있을때 보험가입 시 불이익과 대안으로 들을 수 있는 보험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정신과 기록, 보험에 영향은?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는데 보험가입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보험이 가능한지 궁금하신가요?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을 때 어느 정도 진료를 받았으면 일반 보험 가입이 가능하고 또 어느 선 이상 진료를 받으면 유병자 보험으로 가입해야 하며 이런 병력 사항이 있을 때 어떻게 보험을 가입해야 경제적으로 보험을 구성할 수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사실 안 그래도 보험 가입하는 것도 어려운데 이런 특이사항이 있다면 더 어렵게 느껴지실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이 글에서는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을 때 진료를 어느 정도 받아야 보험 가입할 때 문제가 없는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어떤 보험이 가능하고 어떻게 가입해야 가장 현명하고 경제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고지의무

우리가 보험을 가입할 때는 보험회사의 나의 건강 상태를 알리는 고지의무라는 것을 해야 합니다. 고지의무는 5가지 인데요.

  • 첫 번째로 최근 3개월 이내 병원에서 진찰 치료받은 이력 질병이 좀 소견 즉 3개월 이내 병원에 갔던 이력을 고지해야 하고요.
  • 두 번째로 3개월 이내에 약물 복용한 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 세 번째로 최근 1년 이내 추가 검사를 받은 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머리가 아파서 병원에 갔는데 의사가 무슨 질병이 의심된다면 피검사를 해보자고 하는 것이죠.
  • 네 번째로 최근 5년 이내에 이번 수술 장기 악물 복용 이력 같은 원인으로 7일 이상 치료받은 이력을 알려야 하고요.
  • 다섯 번째로 최근 5년 이내 암 백혈병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판막증 강경화증 뇌졸중 당뇨병 AG 및 hiv 보균 학문질환 진단 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고지의무를 하게 될 때는 이렇게 5가지 질문에 답을 하게 됩니다. 이 다섯 가지 질문 중에서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1번 2번 4번 인데요. 하지만 1번 2번은 최근 3개월의 이력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최근에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더라도 세 달 뒤에 보험을 가입하게 되면 고지의무 사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만 4번의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진료 기록 있어도 가능한 보험 추천 바로가기

문제가 되는 경우

따라서 보험회사의 진료 이력을 굳이 말할 필요가 없고요. 보험 가입의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신과 진료 이력이 보험 가입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 첫 번째로 최근 5년 내에 정신과 관련 약물을 30일치 이상 복용했을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 앞서 보여드린 고지 의무 4번에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 보험 가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두 번째로 정신과 치료 관련 병원비를 실손보험 청구했을 경우입니다. 우리가 병원 치료를 받고 실비 청구하게 되면 보험회사의 이력이 남게 되는데요. 보험회사는 그 청구 기록을 토대로 보험 가입시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보험료 차등제란?(4세대 실비 보험 들어야 되는 이유)>>

대안은?

이런 경우에 혹시 문제가 돼서 일반 건강 보험 가입이 거절되면 유병자 보험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종합하면 정신과 진료를 받았더라도 30일 이상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거나 실손보험 청구를 하지 않았다면 일반 건강체 보험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보험으로 가입하시면 되겠고요.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유병자 보험으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유병자 보험 드는 방법은?(고려할 것 3가지, 적정 보장액과 보험료)>>

유병자 보험 추천 바로가기

그럼 지금부터는 정신과 진료 이력으로 인해 일반 보험 가입이 힘든 분들이 가장 현명하고 경제적으로 보험을 가입하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유병자 보험 드는 방법

우리가 종합보험을 가입할 때는 보통 암에 대한 보험료가 가장 많은 부분에 차지하게 되는데요. 보통 월보험료 10만원에 종합보험을 가입하시게 되면 암에 대한 보험료가 5만원에서 6만원 정도 나오게 되실 거예요.

암보험은 따로 들어라.

그만큼 암이 치명적이면서 발병확률도 높은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보험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은 암보험으로 따로 가입하게 되면 정신과 진료 이력이 있어도 위병자 보험이 아니라 일반 보험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험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을 유병자가 아니라 일반 건강체 보험으로 가입하게 되면 암도 유병자 보험으로 가입하는 것보다 보험료를 훨씬 많이 절약할 수 있는데요. 추가로 암보험을 저렴하게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 글 읽어보시고 전문가에 상담 받으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암보험 비싸게 만드는 담보 특약은?(가성비 암보험 4만원으로 구성하기)

유병자 보험 상담 바로가기

유병자 보험 같은 경우에는 병력이 있는 분들의 대상으로 하는 범위다 보니 보장마다 보험료가 일반보험에 비해 부담스러운 편인데요. 따라서 꼭 필요한 방법만 선택해서 넣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따라서 유병자 보험을 가입할 때는 고객님이 처한 상황을 모두 고려해서 가장 조건이 좋은 회사로 가입하시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조건이 좋은 회사와 그렇지 못한 회사는 보험료 차이가 최소 몇 천원에서 많게는 몇 만원까지 날 수 있거든요. 같은 보장인데 보험료만 비싸진다면 보험료가 너무 아깝잖아요. 정말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험회사별 보험 비교는 아래 링크 통해서 확인해보시고 유병자 보험 특약 구성방법도 참고해보세요.

보험 특약 구성 방법(추가할것, 빼야할것 2가지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