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팀목 갈아타기 하는 방법이 궁금하신가요? 청년 버팀목 대출이나 중기청 전세 대출 혹은 일반 버팀목 대출을 이용 중이신 분이 신혼부부가 되면 매우 저렴한 1.5~2.1%의 금리로 대출을 갈아탈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 방법 및 주요 질문들을 안내해 드립니다.
버팀목 갈아타기
버팀목 갈아타기의 정확한 명칭은 생애주기형 전세자금 전환대출인데요. 즉 생애주기 결혼할 때가 되서 이제 신혼부부가 되면 일반 청년이거나 중소기업취업청년, 혹은 일반 버팀목 전세 대출을 받은 분들이 더 금리가 저렴한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 전세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신혼부부가 되어 좀 더 큰집으로 이사를 할때 필요한 것이죠.
대출 기간 연장
버팀목 전세대출은 대출 연장이 최고 10년 인데요. 그렇다면 기존에 받은 중기청 전세대출을 2년 이용했다가 신혼부부로 갈아탄다면 8년이 되는지 아니면 다시 10년으로 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갈아타기를 하면 10년으로 새롭게 적용됩니다.
전환대상 대출
기존 대출이 청년전용 버팀목, 일반 버팀목,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세 대출, 월세 대출, 노후고시원거주자 주거이전 대출 총 5가지 입니다.
다만 청년전용 월세대출은 안됩니다.
대출한도
대출한도는 신규계약과 갱신계약이 있는데요. 신규 계약으로 새집으로 가는 것이라면 보증금의 80%입니다.
갱신계약으로 연장하는 경우에도 증액이 되면 증액금액 이내에서 80%까지 전환대출을 할 수 있으니 한도가 줄어들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대출조건
가장 중요한 대출 조건입니다. 중기청이나 청년대출을 처음 받을때와는 2년 3년뒤에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을텐데요. 자산도 늘었을 수 있고, 연봉도 늘었을 수 있습니다.
대출을 연장할때도 기존대출을 유지하면 연봉을 보지 않지만 증액한다면 다시 심사를 받아야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이 전환대출도 다시 심사를 보는 것은 같습니다.
대출을 받기 위해서 중기청이나 청년 대출과 신혼부부의 조건차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중기청 생애주기형(중기청에서 신혼 버팀목,2023년) 참고하세요.
즉, 연봉, 자산 모두 신혼부부로 사후 자산심사 결과를 확인하시고 대출을 전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애주기형 전세자금 전환대출 신청방법
생애주기형 전세자금 전환대출 말이 조금 긴데요. 버팀목 전세대출 갈아타는 법은 새로운 집이나 계약을 갱신 시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대출을 통해서 기존 대출을 상환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나 우리은행을 통하면 쉽게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고 어플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하시면 기금e든든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후기 및 필요 서류
참고로 19년도 이전에 대출을 받은 분들은 은행으로 방문하셔야 해요. 필요서류는 등본,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청접장), 재직증명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소득금액증명원, 부동산계약서(전, 후), 보증금이제 확인서, 확정일자, 등기부등본, 전입세대열람원 총 11개의 서류가 필요합니다. 일반 신혼부부 전세대출 받을 때랑 비슷합니다. 추가로 3개월 이내에 혼인신고 증명서를 제출하시면 되요. 예비부부시라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