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통장잔고와 현금자산
기초연금 수급자격을 계산할 때 소득과 재산을 소득인정액으로 환산하여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재산 중 특히 현금자산에 대한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 통장잔고와 소득환산
현금자산 중 예금은 3개월 평균 통장잔고를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예금잔고 외에도 주식 금액, 적금 총 납부액, 보험 해약환급금 등 금융재산을 모두 합한 뒤 2천만 원을 공제한 후에 계산합니다.
4개월 이전의 통장 금액
기초연금 예금 기준이 3개월 평균 잔액이기 때문에 4개월 전에 돈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올바른 해결 방법이 아닙니다. 2011년 7월 1일 이후에 재산을 증여 또는 처분한 경우에는 해당 금액이 증여재산으로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3개월 평균 잔액 계산 방법
통장에 있는 예금은 기초연금 재산 산정 시 3개월 평균 잔액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이때 3개월 동안의 매일 예금 잔고를 더한 후 90일 또는 91일로 나누어 평균 잔액을 계산합니다. 자세한 계산은 아래 링크 통해서 해보세요.
예금 잔고 기준금액
현금자산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다른 재산과 소득이 없다고 가정하여 계산한 예금 잔고의 최대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부 가구의 경우 10억원까지, 단독 가구의 경우 6억 5천만 원까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기초연금 통장잔고와 현금자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득과 재산을 소득인정액으로 환산하여 일정 금액 이하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현금자산 중 예금은 3개월 평균 잔액을 적용하여 환산하며, 다른 재산과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예금 잔고에 따라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을 고려하고 기초연금 신청을 해보세요.
참고로, 기초연금은 저위험 상품에 해당하지만 원금 보장형은 아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