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부동산 조회방법(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토지)

기초연금 부동산 조회 수급자격 확인하는 방법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인 노인들에게 지급되는 연금으로, 소득과 재산을 합산하여 계산한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수급자격을 갖습니다.

기초연금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등 다양한 소득과 토지, 건물, 주택, 자동차, 예금, 주식 등의 재산을 포함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기초연금 재산기준 중 부동산 가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가격 조회 방법

부동산 가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조회해야 합니다. 아래에서는 아파트, 단독주택, 토지의 가격 조회 방법을 소개합니다.

기초연금 부동산 계산(자가, 전세, 월세, 매도)

아파트, 빌라, 다세대 조회하는 방법

아파트, 연립, 빌라, 다세대에 거주하는 경우, 공동주택가격을 기준으로 소득인정액을 평가합니다. 공동주택가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단계를 따르세요.

1. 공동주택가격 조회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거주지를 입력합니다. 시/도, 시/군/구, 도로명의 초성을 선택한 후 도로명 주소를 선택합니다.
3. 검색 결과에서 아파트 단지와 동, 호수를 선택한 후 “열람하기”를 누릅니다.
4. 조회 결과에서 아파트 단지명, 동호수와 함께 공동주택가격이 검색됩니다.

단독주택 가격 조회하는 방법

단독주택은 공동주택이 아닌 표준주택가격 혹은 개별주택가격으로 조회해야 합니다. 표준주택가격이 조회되지 않으면 개별주택가격으로 조회하세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표준단독주택가격 조회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거주지를 입력합니다. 시/도, 시/군/구, 도로명의 초성을 선택한 후 도로명 주소를 선택합니다.
3. 도로명 주소와 함께 공시가격이 검색됩니다.

토지 가격 조회하는 방법

토지 가격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표준공시지가 혹은 개별공시지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준공시지가가 조회되지 않으면 개별공시지가로 검색하세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표준공시지가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지역을 선택하여 검색하면 제곱미터당 공시지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면적에 제곱미터당 가격을 곱하여 가격을 계산합니다.

또는 개별공시지가 사이트에서도 토지 가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군/구 지역을 선택합니다.
2. 지번 주소를 안다면 ‘지번입력조회’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눌러 주택가격 검색 결과를 확인합니다.
3. 도로명 주소를 안다면 ‘도로명주소입력조회’를 선택하고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고 결과를 조회합니다.

조회된 가격으로 모의계산하기

부동산 가격을 월 소득액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일반재산에서 공제금액을 빼고 연 4%로 계산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공식을 사용하세요.

(일반재산 – 공제금액) × 0.04 ÷ 12

예를 들어, 아파트 가격이 5억 원일 때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별로 소득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대도시 : (5억 원 – 1억 3천5백만 원) × 0.04 ÷ 12 = 1,220,000원
– 중소도시 : (5억 원 – 8천5백만 원) × 0.04 ÷ 12 = 1,380,000원
– 농어촌 : (5억 원 – 7천2백5십만 원) × 0.04 ÷ 12 = 1,430,000원

일반재산액 5억 원을 공제하지 않고 소득액으로 환산하면 대도시는 45만 원, 중소도시는 28만 원, 농어촌은 24만 원의 월 소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의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자녀 명의 집에서 사는 경우

자녀 명의 집에 거주하는 경우, 집의 시가표준액이 6억 원 이상이면 연 0.78%의 무료임차소득이 산정됩니다. 이 경우에도 아파트는 공동주택가격, 단독주택은 표준주택가격 혹은 개별주택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사용대차확인서(무료임차소득, 자녀)

이제 여러분은 기초연금 재산기준 중 부동산 가격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가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의 관련 글들을 참고해보세요.

기초연금 자동차 구매 영향(신고, 중단)

기초연금 통장잔고 기준(10억), 3개월 잔액 평균